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artition_options=merge
- MSSQL
- SSMS
- oracle account_status expired
- ora-28002: the password will expire within 7 days
- Oracle Database
- oracle sqlnet.ora
- ORA-00020
- oracle supplemental
- sqlnet.allowed_logon_version_server=8
- oracleasm
- oracle system lock
- Oracle RAC
- ora-39083 ora-00439
- oracle pdb
- oracle 테스트 데이터
- sqlnet.allowed_logon_version_client=8
- oracle install
- supplemental log 활성화
- oracle tde
- mssql database 삭제
- ora-00439: feature not enabled: partitioning
- oracle hugepage
- oracle
- 오라클
- ora-28040: no matching authentication protocol
- oracle dba_profile password_life_time
- oracle SCN
- oracle awr
- SQL Server
- Today
- Total
신문지한장
💡 SQLNET.ALLOWED_LOGON_VERSION_* 설정은 보안 인증 수준을 제어하는 설정 해당 파라미터 의미SQLNET.ALLOWED_LOGON_VERSION_SERVER=8서버(DB)가 허용하는 최저 클라이언트 인증 방식 버전SQLNET.ALLOWED_LOGON_VERSION_CLIENT=8클라이언트가 허용하는 최저 서버 인증 방식 버전 값 의미12Oracle 12c 방식 인증 이상만 허용 (보안 가장 강화됨)11Oracle 11g 방식 이상만 허용8Oracle 8i 이상 인증 허용 (비교적 낮은 보안 수준)5매우 낮은 보안 (거의 사용 안 함) * 8로 설정하면 오래된 클라이언트(예: 10g, 9i 등)도 접속 허용하는 값으로 보안적으로 취약하지만 호환성 문제로 인해 대부분 8로 설정함 설..
💡 account_status 상태는 신규 로그인 시 변경된다. 로그인 전까지 직전 상태 유지 account_status 상태 변화 : OPEN → EXPIRED(GRACE) → EXPIRED (1) 소소제목SYS@EJJM>!date2025. 02. 04. (화) 12:40:33 KST (2) 현재 SYSTEM 및 OPEN 유저 상태 확인 col username for a30col profile for a30set line 200set pages 1000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lock_date, expiry_date, created, profile from dba_users;USERNAME ACCOUNT_STATU..

💡 Supplemental logging 옵션 오라클 본연의 Redo Log는 DML이 발생하는 경우 오직 변경된 컬럼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Undo(변경 전 데이터)와 Redo(변경 후 데이터) 정보를 남긴다.(=Physiological Logging) 반면, Supplemental Logging은 DML 발생시 리두 로그에 추가적인 데이터를 남긴다. 리두 로그는 기본적으로 Instance Recovery 혹은 Media Recovery를 위해서 사용한다.● Disable : redo log에 변경된 컬럼 정보만 기록함 (default)● Enable : 하나의 컬럼이 변경되더라도 전체 row의 정보를 모두 redo log에 저장 * enable일 경우 redo log의 양이 커짐 Supplement..
OS : CentOS 7.9 DB : Oracle Database 19c(19.23.0) 1. 파티션 테이블 생성SQL>create table ptable(col1 varchar2(8),col2 number)tablespace userspartition by range (col1)(partition p202101 values less than ('20210200'),partition p202102 values less than ('20210300'),partition p202103 values less than ('20210400'),partition p202104 values less than ('20210500'),partition p202105 values less than ('20210600'),..
OS : CentOS7.9 (Maipo) DB : Oracle Database 19c (19.23.0) RAC 1. 현재 SCN 확인SQL> SELECT Checkpoint_change# from v$database;CHECKPOINT_CHANGE#------------------ 6404393 2. SCN으로 아카이브 파일 정보 확인하기 (RAC로 thread 확인 후 first_change# 확인)set line 200set pages 1000select name,SEQUENCE#, TO_CHAR(COMPLETION_TIME,'YYYY/MM/DD HH24:MI:SS'), FIRST_CHANGE#, NEXT_CHANGE# from V$ARCHIVED_LOG+RECO/ORCLEJ/ARC..